5월 16일 KBO 5경기
작성자 정보
- 먹튀폴리스 작성
컨텐츠 정보
- 166 조회
- 목록
본문
1. 선발 투수 분석
NC 최성영 (2승 1패, ERA 5.59):
최근 경기에서 5이닝 2실점을 기록하며 승리를 거두었고, 전체적으로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특히 키움의 타선이 현재 많이 부진한 상황이기 때문에, 최성영의 투구는 충분히 승리를 노릴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휴식 후 강행군이지만, 상대가 김선기라는 점에서 선발에서의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큽니다.
키움 김선기 (4패 6.58):
김선기는 3이닝 2실점을 기록하며 한화와의 경기에서 부진했고, 시즌 전체적으로 길게 던지기 어려운 투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투수의 투구는 계속해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원정에서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점을 감안하면 NC 타선에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일 것입니다.
선발로서의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모습이 계속 이어지기 때문에, 김선기에게 의존하기엔 위험한 요소가 많습니다.
2. 불펜진 분석
NC 불펜:
신민혁, 김태훈 등은 기본적으로 퀄리티 있는 투구를 할 수 있지만, 가끔씩 실점을 하거나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키움의 불펜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고, 후반에 약한 모습을 보이는 키움과 비교하면 안정적입니다.
전반적인 불펜 운용에서 NC는 키움에 비해 확실히 우위에 있으며, 게임 후반에 중요한 순간에 경기를 지키는 역할을 잘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키움 불펜:
하영민, 오석주 등은 중간 계투로 나왔지만, 불펜에서 추격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고, 후반에 점수차를 좁히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점은 경기가 후반으로 갈수록 NC의 불펜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 줍니다.
주승우는 세이브 상황에서만 활약할 가능성이 높고, 기본적으로 불펜이 약한 팀이라는 점은 패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타격 분석
NC 타선:
앤더슨과 같은 강속구 투수에게 막히면서 어려운 경기를 하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후반에 약한 모습을 보이는 점은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도 키움 타선보다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데이비슨의 몸 상태가 돌아오면 타선의 보강이 될 것입니다.
후반 약점을 보이는 NC이지만, 키움의 타선이 너무 부진하여 경기 흐름에서 크게 불리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키움 타선:
현재 타선이 매우 부진하고, 상대 투수에 대한 대응 능력이 매우 떨어지는 상황입니다. 특히 좌완 투수에 약한 점을 감안하면 최성영과의 매칭에서 불리한 상황이 될 것입니다.
임찬규나 김진성을 상대로도 점수를 못 낸 점에서 공격의 일관성이 부족하고, 하위 타선은 경기에서 쉬어가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 승패 분석 및 결론
NC는 선발 투수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고, 불펜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키움의 선발 김선기는 원정에서 약점이 크고, 불펜과 타선도 현재 상황에서는 NC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키움의 타선이 현재 매우 부진하고, 좌타자 상대에 약한 점도 최성영의 강점을 더욱 부각시킬 것입니다.
종합적으로 NC가 승리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경기 후반에 키움 불펜이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커서, NC의 승리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예상 스코어: 5-3, NC 승리
5월 16일 KBO 한화 vs SSG
1. 선발 투수 분석
한화 코디 폰세 (7승 1패, ERA 1.68):
폰세는 현재 리그 최강의 투수로, 지난 키움 원정에서 6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호투한 바 있습니다. 또한, SSG 원정에서도 7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완벽한 투구를 보여줬습니다. 특히 홈에서의 안정성이 뛰어난 선수로, 리그 최상위 투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선발 우위는 명확하게 한화에게 있습니다. 폰세의 투구가 이어질수록 한화가 승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SSG 김광현 (2승 5패, ERA 4.07):
김광현은 4경기 연속 부진의 늪에서 벗어난 뒤, 최근 KIA와의 경기에서 7이닝 1실점으로 호투했습니다. 그러나 원정에서의 기복이 심하고, 한화 상대로 홈에서 패배한 기록이 있어 다소 불안한 요소가 존재합니다.
김광현이 회복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폰세에 비해 확실한 우위를 점하기 어렵습니다. 선발에서 한화의 우위가 확실합니다.
2. 불펜진 분석
한화 불펜:
엄상백이 이적 후 최악의 투구를 하며 불안감을 안겨주었지만, 주현상의 복귀 이후 1실점을 기록하는 등 다소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한화의 불펜은 기복이 있지만, 불펜 안정성이 SSG보다는 상대적으로 낫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불펜의 깊이는 다소 부족할 수 있어 후반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SSG 불펜:
앤더슨은 6이닝 무실점으로 안정적인 투구를 보여줬고, 승리조가 후속 투구에서 1안타 무실점으로 깔끔하게 마무리했습니다. SSG의 불펜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한화의 불펜이 미세하게 우위에 있을 수 있습니다.
SSG 불펜은 다소 기복이 있는 한화 불펜에 비해 안정감이 있지만, 후반 상황에서 중요한 차이를 만들기 어려운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3. 타격 분석
한화 타선:
한화는 최승용을 상대로 2점을 기록했지만, 이후 7이닝 동안 2안타 무득점에 그쳤습니다. 박정수를 공략하지 못한 점이 매우 아쉬웠고, 타선의 일관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폰세의 호투가 이어지면 타선이 큰 역할을 하지 않아도 경기를 이끌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타선이 한 번 침묵하면 회복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
SSG 타선:
SSG는 신민혁 상대로 5회까지 막혔으나, 최정의 3점 홈런을 계기로 점수를 올렸습니다. 현재 최정과 여덟 난장을 제외하면 타선의 변화가 적고, 최정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최정 앞에 얼마나 많은 주자를 내보낼 수 있느냐가 중요한 관건이며, 타선의 불안정성이 문제입니다. 한화의 폰세는 최정을 막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타선에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4. 승패 분석 및 결론
폰세는 현재 리그 최고의 투수로, 홈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SSG 타선의 위협적인 점은 최정 정도에 불과합니다. 한화 선발 투수 우위가 확실하고, 타선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김광현은 최근 회복세를 보였지만, 원정 기복과 한화 상대로의 약점이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선의 일관성이 떨어지므로, 한화가 선발에서 우위를 점하며 승리를 가져갈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불펜에서는 SSG가 다소 우위에 있지만, 폰세의 든든한 지원을 받는 한화가 후반에도 안정적인 경기를 펼칠 수 있을 것입니다.
예상 스코어: 4-2, 한화 승리
1. 선발 투수 분석
KIA 제임스 네일 (2승 1패, ERA 2.18):
네일은 홈에서 매우 강한 투수로, 시즌 초반부터 꾸준한 성적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SSG 원정에서 4이닝 7실점을 기록하며 부진을 보였던 점은 아쉽습니다. 그럼에도 홈에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특히 두산 상대로 원정에서 나쁘지 않았던 기록을 감안하면 이번 경기에서 기대할 수 있는 요소가 많습니다.
선발 우위는 KIA에게 있습니다. 홈에서 강한 네일은 홍민규를 상대로 유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산 홍민규 (2승 1.83):
고졸 신인으로서 2승 1패를 기록하며 첫 선발 등판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특히 NC 상대로 3.2이닝 1실점을 기록했지만, 접전에서 기대를 하기는 어려운 투수로 평가됩니다. 신인 투수가 KIA의 타선을 상대하기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선발에서 KIA의 우위가 확실한 경기가 될 것입니다.
2. 불펜진 분석
KIA 불펜:
올러는 6이닝 2실점으로 제 몫을 다했으나, 전상현과 조상우가 각각 2실점씩 하며 승리조가 무너진 점은 심각한 문제로 다가옵니다. 정해영이 이번 경기에서 투입되지 못하는 상황도 불안 요소입니다. 불펜의 기복이 KIA의 큰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불펜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 점은 두산의 불펜과 비교해 여전히 우위를 점할 수 없다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두산 불펜:
최승용의 부상 강판 이후, 박정수와 박신지 등 기대치 않던 무실점 투구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런 불펜의 회복은 두산에게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불펜의 안정성을 점차 갖추고 있습니다.
두산 불펜의 우위는 KIA와 비교했을 때 미세하게 더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펜의 변동성을 고려하면 여전히 경기를 마무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타격 분석
KIA 타선:
KIA의 타선은 광주에서 매우 강한 모습을 보였고, 김강현 상대로 김도영의 홈런 등으로 7점을 올리며 경기를 리드했습니다. 다만, 기복이 심한 점은 문제입니다. 타선의 집중력이 중요하며, 홍민규와 같은 경험이 부족한 투수를 상대로는 더 많은 점수를 올려야 합니다.
타선의 일관성이 중요한 요소로, 기복을 줄이려면 좀 더 안정적인 공격을 펼쳐야 할 것입니다.
두산 타선:
두산 타선은 엄상백과 정우주 상대로 홈런 3발 포함 8점을 기록하면서 강력한 타선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우타자들의 장타력이 살아나는 모습이 주목할 만합니다. 그러나 김재환의 부진이 계속되고 있어, 김재환이 살아난다면 더 강력한 타선이 될 수 있습니다.
두산의 타선은 현재 김재환의 부진을 제외하면 상당히 위력적입니다.
4. 승패 분석 및 결론
KIA의 선발 네일은 홈에서 매우 강한 투수로, 두산의 신인 홍민규를 상대로 확실히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KIA 타선은 다소 기복이 있지만, 홍민규와 같은 신인 투수를 상대로 점수를 많이 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두산 불펜이 최근에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KIA 불펜의 기복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KIA의 타선이 더 위협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두산 타선의 장타력이 살아나고 있기 때문에 경기 후반 불펜에서 KIA의 우위가 좀 더 중요해질 수 있습니다.
KIA가 선발에서 우위를 점하며 승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두산의 타선도 경기를 접전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오버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상 스코어: 6-4, KIA 승리
5월 16일 KBO 롯데 vs 삼성
1. 선발 투수 분석
롯데 이민석 (1패 5.73):
이민석은 최근 KT 원정에서 6이닝 5안타 1실점으로 호투하며 강속구 투수로서 가능성을 보였지만, 홈 경기에서의 성적이 다소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홈에서의 불안정성이 이번 경기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민석은 최근 컨디션이 올라오는 중이라 삼성의 선발 레예스와의 맞대결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도 있지만, 홈 경기에서의 불안 요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삼성 데니 레예스 (3승 3패 4.71):
레예스는 최근 2경기 연속 4실점을 기록하며 밸런스가 깨진 모습입니다. 특히 야간 경기에서 불안정한 투구를 보였고, 홈 경기에서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는 점은 불안 요소입니다.
삼성 선발 투수는 롯데 타선과의 맞대결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야간 경기에서의 부진은 더욱 문제를 키울 수 있습니다.
선발 우위: 삼성의 우위가 예상됩니다. 이민석의 홈 경기에서의 불안정성을 감안하면 레예스와의 맞대결에서 삼성이 다소 우위를 점할 가능성도 있지만, 레예스의 최근 부진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불안한 상황입니다.
2. 불펜진 분석
롯데 불펜:
롯데 불펜은 나균안이 5.2이닝 6실점을 기록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고, 추격조가 버텨야 할 때 버텨주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KIA와의 경기에서 승리조의 실점이 큰 문제로 지적되었습니다.
불펜에서의 기복이 롯데의 가장 큰 고민이며,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후반에 불리할 수 있습니다.
삼성 불펜:
삼성 불펜은 후라도의 호투에 이어 KT 타선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는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완벽에 가까운 불펜 투구를 보였지만, 접전 상황에서의 불안정성이 문제로 남을 수 있습니다.
불펜 안정성이 삼성보다는 롯데가 더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불펜 우위: 롯데의 미세 우위. 삼성은 후반에 더 안정적인 불펜을 가질 가능성이 있지만, 롯데의 타선과 홈 경기 우위를 고려했을 때 롯데 불펜이 약간 더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타격 분석
롯데 타선:
롯데는 KIA와의 경기에서 전상현과 조상우를 공략하며 6점을 올렸고, 홈 경기에서 타격감이 좋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타선의 기복이 여전히 문제로, 한 번 물이 빠지면 쉽게 살아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롯데 타선은 홈 경기에서의 화력이 기대되는 반면, 기복이 심한 점이 약점이 될 수 있습니다.
삼성 타선:
삼성은 고영표 상대로 5점을 기록했고, 최동환과 이채호를 공략하며 13점을 올렸습니다. 특히 홈런 없이도 점수를 올리면서 타격감이 살아났다는 점은 이번 원정에서도 기대감을 주는 포인트입니다.
삼성 타선은 롯데의 홈 경기에서 타격이 좋을 수 있지만, 원정에서 타격감이 어떻게 이어질지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타선 우위: 롯데의 미세 우위. 홈 경기에서 타격감이 살아날 가능성이 크고, 삼성의 타선도 강력하지만 원정에서 얼마나 유지될지는 변수입니다.
4. 승패 분석 및 결론
롯데의 선발 이민석은 최근 원정에서의 호투를 보였으나 홈에서 불안정한 모습이 문제입니다. 반면, 삼성의 레예스는 야간 경기에서 불안정한 성적을 보였고, 최근 2경기 연속 4실점을 기록하면서 컨디션이 좋지 않습니다.
불펜에서 롯데의 우위가 살짝 더 높지만, 삼성 불펜도 상대적으로 잘 버티고 있습니다.
타선에서는 롯데가 홈에서 조금 더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있으며, 삼성의 타선은 강력하지만 원정 경기에서는 기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상 스코어: 6-5, 롯데 승리
1. 선발 투수 분석
LG 손주영 (4승 2패 4.20):
손주영은 삼성 원정에서 6이닝 3실점의 투구로 승리를 거두었지만, 불안한 3이닝과 훌륭한 3이닝을 보였습니다. 기복이 심한 투수로 평가받고 있지만, 원정에서 감을 잡았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홈에서의 투구가 기대되는 상황에서 KT 상대로 첫 등판이지만, 홈 경기 우위와 KT의 부진한 타선을 고려했을 때, 좋은 결과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KT 윌리엄 쿠에바스 (2승 3패 5.23):
쿠에바스는 롯데와의 홈 경기에서 5이닝 4실점의 부진으로 패배를 당했습니다. 최근 2경기 연속 4실점을 기록하며 컨디션이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홈에 비해 원정에서 더 나은 성적을 보였다는 점은 위안이 될 수 있지만, LG 상대로의 부진이 계속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선발 우위: LG의 미세 우위. 손주영이 기복이 있지만, 홈에서의 장점과 쿠에바스의 부진을 감안할 때 LG가 선발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불펜진 분석
LG 불펜:
임찬규는 7이닝 4안타 1실점의 호투로 에이스의 자격을 입증했으며, 박명근은 최근 다소 구르는 모습을 보였지만, 배재준의 마무리가 안정적이었습니다.
불펜의 깊이가 KT에 비해 월등히 강한 편입니다. 불펜 안정성을 고려하면 LG가 유리합니다.
KT 불펜:
고영표는 4이닝 5실점으로 부진하며, 문용익은 2이닝 무실점으로 막았지만, 최동환과 이채호가 8실점하며 대패의 시나리오를 완성했습니다.
KT 불펜은 승리조 3명만 믿어야 한다는 점에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고, 불펜의 깊이가 매우 얕습니다.
불펜 우위: LG의 우위. LG의 불펜이 깊이가 있으며, 안정감도 더 높은 상황입니다.
3. 타격 분석
LG 타선:
LG 타선은 하영민과 오석주를 공략하며 홈런 2발 포함 6점을 기록했습니다. 집중력이 살아났다는 점이 중요하며, 박동원도 8회말 결정적인 홈런을 때려내며 상황에 맞는 타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타격감이 올라오면서 KT의 부진한 투수진을 상대로 좋은 성과를 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KT 타선:
KT 타선은 후라도 상대로 4안타 완봉패를 당하며 타격 부진을 보여주었습니다. 현재 안현민 외에 믿을 만한 타자가 없는 상태이며, 안현민이 침묵하면 KT 타선은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타선의 기복이 매우 심각하며, 이번 원정에서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타격 우위: LG의 우위. KT 타선의 부진과 LG 타선의 집중력을 고려했을 때, LG의 타선이 확실히 우위에 있습니다.
4. 승패 분석 및 결론
LG의 손주영은 원정에서 감을 잡았다는 점과 홈에서의 우위를 고려할 때, 이번 경기에서 KT의 부진한 선발 투수인 쿠에바스를 상대로 승리할 가능성이 큽니다.
LG 타선은 최근 집중력이 올라온 상태이며, KT의 불안정한 불펜과 타선을 상대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LG 불펜은 KT에 비해 훨씬 더 안정적이므로, 후반에도 안정적인 승리를 거둘 확률이 높습니다.
예상 스코어: 7-4 LG 승리
승1패: LG 승리
핸디: LG 승리
언더 오버: 오버
5이닝 승패: LG 승리
결론
LG의 우위가 뚜렷하며, KT의 부진한 선발과 불펜, 타선의 기복을 고려했을 때, LG의 승리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련자료
-
다음